본문 바로가기
경제

주택청약저축 연말정산 소득공제 자격요건, 신청방법

by 알뜰열 2025. 4. 18.
반응형

1. 주택청약저축 연말정산 소득공제란?

주택청약저축은 무주택 근로자가 청약 자격을 쌓기 위해 가입하는 대표적인 주거 금융상품입니다.
이 저축에 일정 요건을 충족한 근로자가 가입하여 납입하면,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소득공제를 통해 과세 대상 소득이 줄어들면서 연말에 세금 환급을 받는 효과가 있습니다.

 

2. 소득공제 대상 조건

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를 받으려면 다음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

① 총급여 7천만 원 이하인 근로자

근로소득이 있는 사람만 대상이며,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.

② 무주택 세대주

해당 연도(1월 1일~12월 31일) 동안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세대의 세대주여야 합니다.
세대주는 주민등록등본 기준으로 본인 단독 혹은 부양가족과 함께 거주 중인 사람을 말합니다.

③ 본인 명의 청약통장 보유자

공제 대상이 되려면 반드시 본인 명의의 주택청약저축이어야 하며, 타인 명의로 가입한 경우 인정되지 않습니다.

 

3. 소득공제 대상 상품

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주택청약종합저축
  •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저축
  • (이전 가입자에 한해) 청약저축

이 중 현재 신규가입이 가능한 것은 ‘주택청약종합저축’과 ‘청년우대형 청약통장’입니다.

 

4. 소득공제 한도 및 공제율

항목 내용
공제율 연 납입액의 40%
공제한도 최대 300만 원까지 인정
최대 공제액 연간 120만 원 (300만 원의 40%)

즉, 한 해에 300만 원 이상을 납입해도 최대 120만 원까지만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월 25만 원씩 12개월 납입했다면 공제 대상입니다.

 

5. 소득공제 신청 방법

Step 1. 무주택확인서 제출

청약통장을 개설한 은행에 ‘무주택 세대주 확인서’를 제출해야 합니다.
최초 1회만 제출하면 되고, 주택 소유 등 상황이 바뀌지 않았다면 매년 다시 낼 필요는 없습니다.

Step 2.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

국세청 홈택스 또는 회사에서 연말정산 시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증명서를 제출하면 됩니다.
이는 은행에서 자동으로 자료를 국세청에 제출하므로, 대부분 연말정산 간소화 시스템에서 조회됩니다.

Step 3. 소득공제 반영

회사 또는 홈택스에서 연말정산 시 청약저축 항목에 금액이 자동 반영되어 세액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 

6. 주의사항

① 세대주가 아닐 경우 소득공제 불가

세대원이거나 세대주가 아니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.
12월 31일 기준으로 세대주로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.

② 주택 보유 시 소득공제 제외

해당 연도 중 주택을 취득한 경우, 그 해의 납입분은 소득공제 대상이 아닙니다.
공제는 무주택 상태를 유지해야만 가능합니다.

③ 중도해지 시 세금 추징 가능

청약통장을 5년 이내에 해지하거나, 국민주택 규모(전용 85㎡ 이하)를 초과하는 주택에 청약하여 당첨될 경우 그간 받은 소득공제에 대해 세금이 추징될 수 있습니다.

④ 연말에 몰아서 납입해도 OK

납입금액은 월납이든 일시납이든 해당 연도 납입 총액 기준으로 판단하므로 연말에 일시불로 300만 원 납입해도 소득공제 가능합니다.

반응형